본문 바로가기
IT 관련기술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by bits 2021. 1. 22.

이번 포스트는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를 제외하고 Linux, Unix, macOS(OS X)는 그 뿌리를 Unix에 두고 있어서 디렉토리 구조가 유사합니다.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명령어의 종류와 성격, 사용권한 등에 따라 각각의 디렉토리들로 구분됩니다. 리눅스 배포판들은 '리눅스 파일시스템 표준'인 FSSTND(LINUX File System Standard) 라는 표준을 준수하므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들은 그 기본 골격이 같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출처 : https://securityonline.info/linux-directory-structure-file-system-structure/)

 

/(루트)

최상의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리눅스의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이다. 즉, 모든 디렉토리들을 절대경로로 표기할 때에 이 디렉토리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bin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즉, 리눅스 시스템 사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는 mv, cp, rm 등과 같은 명열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하며 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토리이다.

 

/boot

리눅스 부트로더(Boot Loader)가 존재한는 디렉토리. 즉, GRUB과 같은 부트로더에 관한 파일들(grub.conf 등)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한다.

 

/dev

시스템 디바이스(device)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즉, 하드디스크 장치파일 /dev/sda, CD-ROM 장치파일 /dev/cdrom 등과 같은 장치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이다.

 

/etc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설정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sysconfig (시스템 제어판용 설정팡리), /etc/passwd (사용자관리 설정파일), /etc/named.conf (DNS 설정파일) 등과 같은 파일들이 존재한다.

 

/etc/mai/

sendmail.cf 나 access 파일등의 sendmail의 설정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ssh/

SSH 서비스, 즉 sshd 데몬에서 사용하는 각종 설정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squid/

squid 프락시 서버의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samba/

samba 관련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skel/

계정 사용자 생성시의 초기화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useradd 에서 사용함)

 

/etc/rc.d/

부팅 레벨별 부팅 스크립트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rc.d/init.d/

시스템 초기화 파일들의 실제 파일들이 존재함.

 

/etc/pam.d/

PAM 설정정보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httpd/

RPM으로 설치된 아파치 설정파일(httpd.conf 등)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cron.d/. /etc/cron.daily/, /etc/cron.hourly/, /etc/cron.monthly/, /etc/cron.weekly/

모두 크론 설정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xinetd.d/

xinetd 슈퍼데몬에 의해 서비스되는 서비스 설정파일이 존재함.

 

/home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useradd 명령어로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면 대부분 사용자의 ID와 동일한 이름의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됨.

 

/lib

커널모듈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 즉, 커널이 필요로 하는 커널모듈 파일들과 프로그램(C, C++ 등)에 필요한 각종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media

DVD, CD-ROM, USB 등과 같은 탈부탁이 가능한 장치들의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되는 디렉토리.

 

/mnt

/media 디렉토리와 비슷한 용도로 탈부착이 가능한 장치들에 대하여 일시적인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되는 디렉토리.

 

/proc

일명 "가상파일시스템" 이라고 하는 곳으로 현재 메모리에 존재하는 모든 작업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한는 곳이다. 디스크 상에 실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상파일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실제 운용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여기에 존재하는 파일들 가운데 현재 실행중인 커널(kernel)의 옵션 값을 즉시 변경할 수 있는 파라미터 파일들이 있기 때문에 시스템 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root

시스템 최고관리자인 root 사용자의 개인 홈 디렉토리.

 

/sbin

ifconfig, e2fsck, ethtool, halt 등과 같이 주로 시스템 관리자들이 사용하는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tmp

일명 "공용디렉토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mysql에서 사용하는 mysql.sock 등과 같은 소켓파일, 또는 아파치에서 사용하는 세션파일등이 생성되기도 한다.

웹 해킹에 사용되기도 해서 주의를 요망.

 

/usr

시스템이 아닌 일반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즉, c++, chsh, cpp, crontab, du, find 등과 같이 일반사용자들용 명령어들은 /usr/bin에 위치한다.

 

/usr/bin/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한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usr/X11R6/

X 윈도우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

 

/usr/include/

C 프로그램에 필요한 헤드파일(*.h) 디렉토리.

 

/usr/lib/

/lib에 들어가지 않은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usr/sbin/

/bin 에 제외된 명령어와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

 

/usr/src/

프로그램 소스(주로 커널소스)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usr/local/

MySQL, Apache, PHP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소스로 컴파일 설치할 때 사용되는 장소.

 

/usr/share/man/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주는 메뉴얼(manual) 페이지 디렉토리. 즉, 이 디렉토리에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맨 페이지 파일(man page)이 존재함.

 

/var

시스템 운용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 거의 모든 시스템 로그파일은 /var/log 에 저장되고, DNS의 zone 설정파일은 /var/named 에 저장되고, 메일 파일은 /var/spool/mail 에 저장되며, 크론 설정파일은 /var/spool/cron 디렉토리에 각각 저장됨.

 

/var/tmp/

/tmp 디렉토리와 같은 공용디렉토리. 즉, /tmp 디렉토리와 /var/tmp 디렉토리의 퍼미션은 1777로서 sticky bit 가 설정되어 있는 공용디렉토리앋. 리눅스 시스템에서 공용디렉토리는 /tmp 와 /var/tmp 둘 뿐이다.

 

/var/log/

시스템 로그파일 (messages, secure, xferlog 파일 등)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ftp/

vsftp 등과 같은 FTP 서비스를 위한 다운로드 될 파일들 즉, FTP 홈 디렉토리.

 

/var/named/

BIND 즉, DNS 에서 사용하는 zone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spool/mail/

각 계정 사용자들의 메일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spool/lpd/

프린트를 하기 위한 임시 디렉토리(스풀링 디렉토리)

 

/var/spool/mqueue/

발송을 위한 메일 일시저장 디렉토리.

 

/var/spool/cron/

각 사용자들의 cron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var/spool/at/

atd 즉, 예약 작업에 관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lost+found

최상위 디렉토리인 / 디렉토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시스템마다 존재할 수 있는 디렉토리임. 이 디렉토리는 fsck 또는 e2fsck 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 체크 및 복구 유틸리티 실행 후에 주로 생성이 되는 것으로서 복구되지 않은 채로 블록(block)만 존재하는 파일 즉, 연결이 끊어진 inode 들이 숫자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곳임. 숫자 형태로 존재하는 파일들은 mv 명령어로 파일이름만 바꾸면 바로 복구될 수 있다.

 

 

 

 

출처: 리눅스 서버관리 실무 바이블 v3.0
출처: https://webdir.tistory.com/101 [WEBDIR]

 

 

 

 

 

 

 

 

 

 

 

 

댓글